대구외고 2학년 기말고사 대비(The Age of Disbelief)-(1)
대한민국 1% 영어강사, 찍신 이상엽 쌤은 내신과 수능에 최적화된 실전문제를 제공합니다. 이상엽 쌤은 대구외고 수험생들을 위해 선생님들의 출제경향을 정확히 분석해 맞춤예상 문제를 제공합니다. 본 문제에 대한 궁금한 점 또는 영어가 어렵고 고민이면, 010-2818-6994로 연락주세요.
The Age of Disbelief
[1~11]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A] We live in an age when all manner of scientific knowledge—from the safety of vaccines to the reality of climate change—faces organized and often angry opposition. Doubters have declared war on the consensus of experts. There are so many of these controversies these days, you’d think an evil villain had put something in the water to make people argumentative.
[B] In a sense all this is not surprising; our lives are affected by science and technology as never before. For many of us this new world is comfortable and rich in rewards—but also more complicated and sometimes unnerving. We now face risks we can’t easily analyze.
[C] We’re asked to accept, for example, that it’s safe to eat food containing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Experts say there’s no evidence that it isn’t safe, and no reason to believe that altering genes in a lab is more dangerous than altering them through traditional breeding. But to some people the very idea of transferring genes between species brings up images of mad scientists running wild.
[D] The world seems full of real and imaginary hazards, and distinguishing the former from the latter isn’t easy. Should we be afraid that the Ebola virus, which is spread only by direct contact with bodily fluids, will mutate into an airborne super-plague? The scientific consensus says that’s extremely unlikely: No virus has ever been observed to completely change its mode of transmission in humans. But if you type “airborne Ebola” into an Internet search engine, you’ll find that some people believe that this virus has almost supernatural powers.
[E] In this often confusing world we have to decide what to believe and how to act accordingly. In principle, that is what science is for. “Science is not a body of facts,” says geophysicist Marcia McNutt, who once headed the U.S. Geological Survey and is now editor of the journal Science. “Science is a method for deciding whether what we choose to believe has a basis in the laws of nature or not.” But that method doesn’t come naturally to most of us.
1. 윗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Science Under Siege: Why We Doubt Experts in Today’s World
②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Technology, and Public Perception Now
③ GMOs and Ebola Fears: Understanding Specific Scientific Controversies Today
2. 윗글의 밑줄 친 an evil villain had put something in the water to make people argumentative 가 의미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People are arguing more because there is actual contamination in the water supply.
② People are argumentative only when they drink water from a specific place.
③ People are becoming argumentative because of a mysterious and deliberate cause, as if someone is intentionally making them disagree.
3. 윗글의 밑줄 친 In a sense all this is not surprising 이 의미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It is shocking that so many people doubt scientific knowledge in today’s world.
② It makes sense that people are skeptical of science because our lives are more affected by science and technology than ever before.
③ It is surprising that people are confused about scientific facts despite all the information available.
4. Which of the following words is closest in meaning to the word “unnerving” in paragraph B?
① frightening ② relaxing ③ encouraging ④ amusing
5. What is the purpose of paragraph C?
a. To explain the process of genetically modifying organism
b. To provide a specific example of how people react to scientific claims
c. To describe the benefits of genetically modified foods
d. To argue that traditional breeding is safer than genetic modification
6. 윗글의 밑줄 친 the very idea of transferring genes between species brings up images of mad scientists running wild 가 의미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Some people think that transferring genes between species is a common and safe practice that everyone supports.
② Some people believe that scientists are always careful and responsible when transferring genes between species.
③ Some people imagine that scientists are recklessly experimenting in dangerous and uncontrollable ways when they hear about transferring genes between species.
7. What type of figurative language is used in the following sentence from the passage?
But to some people the very idea of transferring genes between species brings up images of mad scientists running wild. |
a. personification b. imagery
c. anecdote d. alliteration
8. What is the purpose of paragraph D?
a. To explain how scientific research is conducted
b. To argue that all scientific warnings are exaggerated
c. To describe the history of the Ebola virus
d. To provide an example of how people can confuse real and imaginary risks
9. 윗글의 밑줄 친 Science is a method for deciding whether what we choose to believe has a basis in the laws of nature or not 이 의미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Science is a collection of facts that we memorize to understand the world.
② Science helps us determine if our beliefs are supported by evidence and natural laws.
③ Science encourages us to believe whatever we want, regardless of evidence.
10. Which of these beliefs would the author probably agree with? Choose all correct expressions.
a. The public’s skepticism towards scientific consensus is usually well-founded and based on thorough analysis.
b. Science is a fixed set of truths that, once established, should not be questioned.
c. Individuals find it inherently easy to distinguish between scientifically plausible risks and unfounded fears.
d. Science offers a crucial process for evaluating beliefs, especially in a world full of complex and sometimes frightening information.
e. People’s skepticism about science is completely irrational and has no valid basis.
f. Traditional breeding methods are inherently safer than genetic modification in laboratories.
g. The scientific method is our best tool for understanding reality, even though it doesn’t come naturally to most people.
h. The public’s distrust of science is primarily fueled by a few “evil villains” intentionally spreading misinformation.
i. Most people inherently understand and apply the scientific method to their daily decisions.
j. Scientific consensus is often wrong, and the public is right to question it aggressively.
k. The increasing complex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contributes to public anxiety and skepticism towards expert consensus.
11. 윗글에 대한 설명이나 추론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Many people distrust scientific consensus due to the complexity and unfamiliarity of modern scientific advancements.
② The article suggests that distinguishing between real and imagined dangers is increasingly challenging in today’s world.
③ Science provides a systematic way to evaluate beliefs, but this method is not instinctive for most individuals.
④ The article concludes that science is primarily a collection of established facts that people should simply memorize and accept.
⑤ The spread of misinformation online can amplify fears about scientific topics, regardless of expert consensus.
본문 해석
[A] 우리는 백신의 안전성에서부터 기후 변화의 현실에 이르기까지, 모든 종류의 과학 지식이 조직적이고 때로는 분노에 찬 반대에 직면한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회의론자들은 전문가들의 합의에 전쟁을 선포했습니다. 요즘에는 이런 논란이 너무 많아서, 마치 어떤 악당이 사람들을 말싸움하게 만들기 위해 물에 무언가를 넣은 것처럼 느껴질 정도입니다.
[B] 어떤 면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놀라운 일만은 아닙니다. 우리의 삶은 그 어느 때보다 과학과 기술의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에게 이 새로운 세상은 편안하고 보상이 풍부하지만, 동시에 더 복잡하고 때로는 불안감을 줍니다. 우리는 쉽게 분석할 수 없는 위험에 직면해 있습니다.
[C] 예를 들어, 유전자 변형 생물(GMO)이 포함된 식품을 먹는 것이 안전하다고 받아들이기를 요구 받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GMO 식품이 안전하지 않다는 증거가 없으며, 전통적인 품종 개량과 비교해 실험실에서 유전자를 조작하는 것이 더 위험하다고 볼 이유도 없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어떤 사람들에게는 종간 유전자 이동이라는 개념 자체가 미친 과학자들이 통제 없이 실험을 벌이는 모습을 떠올리게 합니다.
[D] 세상은 실제 위험과 상상의 위험으로 가득 차 있으며, 이 둘을 구분하는 일은 쉽지 않습니다. 우리는 체액과의 직접 접촉으로만 전염되는 에볼라 바이러스가 공기를 통해 전염되는 슈퍼 전염병으로 돌연변이를 일으킬까봐 두려워해야 할까요? 과학계의 합의는 그것이 극히 드문 일이라고 말합니다. 인간에게서 바이러스가 전염 방식을 완전히 바꾼 사례는 지금까지 한 번도 관찰된 적이 없습니다. 그러나 인터넷 검색창에 “공기 전염 에볼라”를 입력해 보면, 이 바이러스가 거의 초자연적인 힘을 가졌다고 믿는 사람들을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E] 이렇게 혼란스러운 세상에서 우리는 무엇을 믿을지, 그리고 그에 따라 어떻게 행동할지를 결정해야 합니다. 원칙적으로, 그것이 바로 과학이 존재하는 이유입니다. 미국 지질조사국장을 역임하고 현재는 과학 저널 Science의 편집장인 지구물리학자 마르시아 맥너트는 말합니다. “과학은 사실들의 집합이 아닙니다. 과학은 우리가 믿기로 선택한 것이 자연 법칙에 기반을 두고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하지만 이 방법은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자연스럽게 익혀지는 것이 아닙니다.
정답 및 해설
1. ①
해설: 과학적 합의와 전문가 지식에 대한 의문 제기에 대한 광범위하고 종종 “격노한 반대”를 효과적으로 포착하고 있다. “포위당한 과학”은 본문에서 언급된 “전문가 합의에 대한 전쟁”을 반영하는 매력적이고 연상적인 은유이다. “왜 우리는 전문가를 의심하는가”라는 문구는 핵심 갈등과 이러한 회의론의 이면(복잡성, 두려움, 잘못된 정보)에 대한 이 글의 탐구를 직접적으로 다루고 있다.
2. ③
해설: “사악한 악당이 사람들을 논쟁적으로 만들려고 물에 무언가를 넣었다”라는 문구는 과학적 합의에 대한 대중의 의견 불일치와 반대가 너무 광범위하고 강렬해서 마치 악당이 의도적으로 유발한 것처럼 보인다는 것을 암시하는 은유이다.
3. ②
해설: “어떤 의미에서 이 모든 것은 놀랍지 않다”라는 구절은 저자가 오늘날 과학에 대한 회의론과 논란이 왜 그렇게 많은지 이해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다음 문장들은 우리의 현대 생활이 과학과 기술의 영향을 깊이 받고 있으며, 이는 보람 있는 동시에 혼란스러울 수 있음을 설명한다. 이러한 복잡성 때문에 사람들이 과학적 주장을 신뢰하거나 이해하기 어려워하는 것은 당연하다.
4. ①
해설: “unnerving”이라는 단어는 누군가의 용기나 자신감을 잃게 하는 것, 즉 두려움, 걱정, 또는 불편함을 느끼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5. b
해설: C 단락은 유전자 변형 생물체(GMO)에 대한 대중의 반응을 논한다. 전문가들의 안전성 보장에도 불구하고 일부 사람들은 여전히 두려움을 느끼고 “미친 과학자들이 제멋대로 행동한다”와 같은 부정적인 결과를 상상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는 본문의 더 넓은 주제, 즉 과학적 합의와 대중의 인식 사이의 간극을 보여주는 구체적인 사례이다.
6. ③
해설: 이 표현은 일부 사람들이 유전자 변형에 대해 느끼는 두려움과 의심을 나타낸다. 이는 이러한 사람들에게 이 개념이 과학자들이 신중한 과학적 절차를 따르기보다는 무책임하게 행동하는 극적이고 무서운 이미지를 떠올리게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7. b
해설: “하지만 어떤 사람들에게는 종 간 유전자 이동이라는 생각 자체가 미친 과학자들이 제멋대로 행동하는 이미지를 떠올리게 한다”라는 문장은 독자들이 일부 사람들이 느끼는 두려움을 시각화하는 데 도움이 되는 생생한 심상(“미친 과학자들이 제멋대로 행동하는 이미지”)을 묘사하기 때문에 이미지를 사용한다.
8. d
해설: D단락은 현대 사회에서 사람들이 실제 위험과 상상 속 위험을 구분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이유를 논한다. 에볼라 바이러스를 예로 들어, 공기 전파 가능성은 극히 낮다는 과학적 합의에도 불구하고, 온라인에서 발견되는 잘못된 정보 때문에 일부 사람들은 여전히 그 가능성을 믿고 있다고 설명한다.
9. ②
해설: 이 구절은 과학이 단순한 사실의 집합이 아니라, 우리의 믿음이 실제로 현실, 특히 자연 세계를 지배하는 법칙에 근거하는지 평가하는 체계적인 방법임을 강조한다.
10. d, g, k
해설:
d, g: 저자가 [E] 단락에서 마샤 맥넛의 말을 인용하여 결론을 내리기 때문이다. “과학은 사실의 집합이 아니다… 과학은 우리가 믿기로 선택한 것이 자연 법칙에 근거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이다.” 저자는 이어서 “하지만 그 방법은 우리 대부분에게 자연스럽게 오지 않는다.”라고 말하며, 우리가 “무엇을 믿을지 결정해야 하는” “혼란스러운 세상”에서 그 중요성과 유용성을 시사한다. 이는 과학이 평가에 필수적인 방법을 제공한다는 생각을 직접적으로 뒷받침한다.
k: [B] 단락에서 이 아이디어를 명시적으로 뒷받침한다. “어떤 의미에서 이 모든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우리의 삶은 과학과 기술의 영향을 그 어느 때보다 크게 받고 있다. 우리 중 많은 사람들에게 이 새로운 세상은 편안하고 보람 있는 곳이지만, 동시에 더 복잡하고 때로는 불안하기도 하다. 우리는 이제 쉽게 분석할 수 없는 위험에 직면해 있다.” 이는 현대 과학 기술의 복잡성과 불안한 본질을 논의된 회의론과 직접적으로 연결시킨다.
11. ④
해설: [E] 단락에서는 지구물리학자 마샤 맥넛의 다음과 같은 말을 명시적으로 인용한다. “과학은 사실의 집합이 아닙니다… 과학은 우리가 믿기로 선택한 것이 자연 법칙에 근거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이다.” 이 기사는 과학을 단순히 수동적으로 받아들여야 하는 정적인 사실의 집합이 아니라, 과정이자 방법으로서 강조한다.
REVIEW TEST
TRUE / FALSE: Guess if 1~8 blow are true (T) or false (F).
1. The text suggests that opposition to scientific knowledge is often organized and sometimes angry. ( )
2. According to the passage, most people find it easy to analyze the new risks brought by science and technology. ( )
3. Experts claim there is no evidence that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GMOs) are unsafe to eat. ( )
4. The passage states that altering genes in a laboratory is definitely more dangerous than traditional breeding. ( )
5. The text mentions that the Ebola virus has already mutated to become airborne in humans. ( )
6. Searching for “airborne Ebola” online may lead people to believe in exaggerated dangers about the virus. ( )
7. According to Marcia McNutt, science is primarily a collection of unchangeable facts. ( )
8. The passage argues that the scientific method does not come naturally to most people. ( )
Multiple Choice Quiz
1. The author suggests that opposition to scientific consensus is:
(a) Organized and sometimes angry
(b) A new phenomenon that began recently
(c) Only related to climate change
(d) Caused by lack of scientific discoveries
2. According to the passage, why is it not surprising that people are skeptical about science?
(a) People don’t trust scientists
(b) Science is less relevant today
(c) Our lives are more affected by science and technology than before
(d) The media always misreports science
3. What example is given to illustrate public skepticism toward scientific claims?
(a) The use of fossil fuels
(b) Eating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c) The development of smartphones
(d) The invention of the airplane
4. Some people fear genetically modified foods because:
(a) Scientists have warned against them
(b) They think altering genes in a lab is inherently dangerous
(c) They are more expensive
(d) They taste different
5. What does the passage say about the Ebola virus?
(a) It is easily spread through the air
(b) It has mutated into a super-plague
(c) It is only spread by direct contact with bodily fluids
(d) It can be cured with vaccines
6. According to geophysicist Marcia McNutt, science is best described as:
(a) A body of unchanging facts
(b) A method for deciding what to believe based on the laws of nature
(c) A collection of opinions
(d) A set of moral guidelines
7. What challenge does the passage say most people face when it comes to science?
(a) Understanding complex math
(b) Accepting scientific methods naturally
(c) Finding good teachers
(d) Accessing the internet